[Unreal 5 / C++] BlueprintNativeEvent 사용 시 주의 점
·
Unreal 5/Troubleshooting
오류는 언제나 그렇듯이 불현듯 찾아온다. 이 오류도 그랬다.Fatal error!Unhandled Exception: EXCEPTION_ACCESS_VIOLATION reading address 0x00000000000000180x00007ff8bb182df1 UnrealEditor-CoreUObject.dll!UObjectBaseUtility::GetFullName() [D:\build\++UE5\Sync\Engine\Source\Runtime\CoreUObject\Private\UObject\UObjectBaseUtility.cpp:120]0x00007ff8bb182ee1 UnrealEditor-CoreUObject.dll!UObjectBaseUtility::GetFullName() [D:\build..
[Unreal 5] SaveGame 으로 stuct를 저장할때 값이 변경되는 문제.
·
Unreal 5/Troubleshooting
USTRUCT()struct FWeaponSaveData{ GENERATED_BODY()public: FWeaponSaveData(): WeaponType(EWeaponType::None), WeaponTier(EWeaponTier::None) {} FWeaponSaveData(EWeaponType Type, EWeaponTier Tier): WeaponType(Type), WeaponTier(Tier) {} EWeaponType WeaponType; EWeaponTier WeaponTier;};UCLASS()class PROJECT_4_API UPlayerData : public USaveGame{ GENERATED_BODY() public: UPROPERTY() TArray WeaponSaveData..
[Unreal 5] C++ 클래스가 언리얼 에디터에서 보이지 않거나 삭제하고 싶을 때
·
Unreal 5/Troubleshooting
언리얼 에디터에서는 C++ 클래스를 직접 삭제할 수 없기 때문에, 사용하지 않는 C++ 클래스를 삭제하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라야 한다.C++ 소스 삭제하고 싶을 때언리얼 에디터 종료Visual Studio 솔루션 탐색기의 프로젝트에서 해당 .cpp와 .h 파일 제거파일 탐색기에서 프로젝트 폴더 → Source 폴더 내의 Public에 존재하는 .h 파일과 Private에 존재하는 .cpp 파일 삭제Visual Studio에서 솔루션 우클릭 → 솔루션 다시 빌드빌드가 완료되면 언리얼 에디터 실행C++로 만든 클래스가 보이지 않을 때언리얼 에디터 종료Visual Studio에서 솔루션 우클릭 → 솔루션 다시 빌드빌드가 완료되면 언리얼 에디터 실행이 과정을 통해 삭제된 C++ 클래스 문제를 해결하거나, ..
[Unreal 5] C++ 클래스 빨간줄이 발생할 때
·
Unreal 5/Troubleshooting
언리얼에서 C++로 visual studio로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간혹가다 코드에 Intellisence 에러가 발생하는걸 볼 수 있다.언리얼 에디터 내에서는 컴파일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이런 에러가 발생할때에는 코드창 우클릭 다시검사 -> 솔루션 다시검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.언리얼에서 C++로 Visual Studio를 사용해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간혹 IntelliSense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.이러한 상황에서 언리얼 에디터 내에서는 컴파일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, Visual Studio에서 에러가 나타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코드 창에서 우클릭"다시 검사" → "솔루션 다시 검사"위 과정을 통해 IntelliSense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.